본문 바로가기
형사법

형법상 명예훼손죄의 성립 요건 쉽게 설명하기

by 글마당 2025. 4. 9.
728x90
728x90

명예훼손죄는 **사실을 적시하여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를 규제하는 범죄로,

형법 제307조부터 제309조까지 상세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아래에서 **구성 요건, 판례, 예외 사항** 등을 법률 조문과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 📜 **명예훼손죄의 구성 요건 (형법 제307조)**  

다음 **4가지 요소**가 모두 충족될 때 성립합니다.  

#### 1. **명예훼손죄의 주관적 요건 (고의성)**  

   - **명예 훼손의 고의**: 피해자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킨다는 인식, 의사가 있어야 합니다.  
   - **예외**: 진실한 사실로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경우(후술)는 처벌되지 않음(형법 제310조).  

#### 2. **명예훼손죄의 객체 (피해자)**  

   - **특정성**: 자연인(개인) 또는 법인(기업, 단체)이 식별 가능해야 합니다.  
     - *예시*: "OO회사 대표 A씨" → 특정 가능 / "어떤 정치인" → 비특정적 → 무죄

#### 3. **명예훼손죄의 행위 (적시 방법)**  

   - **적시**: 사실을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 **언어**(말, 글), **영상**, **음성**, **심볼**(풍자 그림) 등 모든 매체 포함.  
     - *주의*: "B씨는 사기꾼" → 명시적 / "B씨는 의심스러운 사람" → 모호 → 무죄 가능성.  

#### 4. **내용 (명예훼손성)**  

   - **사회적 평가 저하**: 일반인이 해당 사실을 접했을 때 피해자에 대한 평가가 하락해야 합니다.  
     - **허위사실**: 거짓 정보일수록 처벌 수위 ↑. 단, 진실이라도 공익 목적이 아니면 처벌(형법 제307조 제2항).  

---


### 🛡️ **명예훼손죄 면책 사유 (형법 제310조)**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위법성이 조각되어 **무죄**입니다.  
1. **진실성**: 적시한 내용이 객관적 사실임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2. **공공성**: 공공의 이익에 관한 사항이어야 합니다.  
   - *예시*: 정치인 비리 폭로, 식품 안전 문제 제기.  
3. **목적의 정당성**: 오로지 공익을 위한 것이어야 합니다.  
   - *판례*: "D의원의 뇌물 수수 의혹" 보도 → 진실 확인 시 무죄

---

### 💼 **명예훼손의 민사적 책임 (추가)**  

- **손해배상**: 형사 처벌과 별도로 민법 제750조에 따라 피해자가 소송 가능.  
  - *판례*: 허위 리뷰로 매출 감소 → 배상 판결

---

### 🔍 **명예훼손 실제 판례 분석**  

#### **유죄 사례**  

- **사례 1**: "E씨가 마약을 팔았다"는 허위 정보를 SNS에 게시 →유죄
- **사례 2**: 전 직장 동료에 대해 "횡령했다"는 익명 글 작성 → 유죄

#### **무죄 사례**  

- **사례 1**: "F병원에서 의료 사고 발생" → 진실 확인 + 환자 권리 보호 목적 → 무죄
- **사례 2**: "G기업 환경 오염" 다큐멘터리 → 공익적 목적 인정 → 무죄

---

### ⚠️ **주의사항**  

1. **증거 확보**: 상대방이 명예훼손을 주장할 경우, 자신의 주장이 **진실**임을 입증해야 합니다.  
2. **온라인 게시물**: 삭제해도 이미 유포된 경우 책임 면제되지 않음
  

명예훼손 소송은 **변호사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허위 신고로 인한 **무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