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340 민사소송을 진행할 때 법원에서 변론은 어떻게 하여야 하나. 갑자기 민사소장을 받거나 지인의 예기치 않은 배신 등으로 나홀로소송을 하여야 할 때, 소송을 접해보지 않았던 대다수의 사람들은 법원에서의 복장 등 사소한 것부터 변론까지 궁금한 것이 많습니다. 오늘은 민사소송을 혼자서 진행하는 경우 변론기일에 변론을 어떻게 하여야 하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민사소송을 진행할 때 '나의사건검색'은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다음이나 네이버 등 인터넷 검색창에 '나의사건검색'으로 사건검색을 주기적으로 하여야 합니다. 위 대법원 나의사건검색에서 관할법원, 사건번호, 소송 당사자 이름, 자동입력방지 문자를 입력하면, 사건의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법원 '전자소송' 사이트를 통하여 서류를 접수, 수령할 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민사소송의 변론.. 2023. 1. 25. [민사소송] 공시송달사건에서 피고의 추완항소 민사소송에서 원고가 피고의 주소지를 모르는 경우, 2~3 차례의 보정명령과 송달절차를 거쳐 결국 공시송달로 사건을 진행하게 됩니다. 법원이 송달할 서류를 보관해 두었다가 당사자가 나타나면 언제라도 교부할 뜻을 법원 게시장에 게시하는 송달방법. 공시송달로 민사소송이 진행되는 경우, 당해 소송의 피고는 소송서류를 현실로 송달받은 것이 아니므로, 피고를 상대로 한 민사소송의 진행사실을 모릅니다. 소송진행 중 피고에 대한 모든 소송서류는 공시송달로 송달하게 되고, 판결문도 공시송달로 송달하게 됩니다. 항소제기 기간은 판결문 송달일부터 2주이므로 판결이 확정되게 됩니다. 피고는 추후 은행계좌가 압류되거나 채무불이행명부등재 등으로 뒤늦게 공시송달로 인한 민사소송이 있었음을 인지하게 됩니다. 이 경우 피고가 공시송달.. 2023. 1. 25. 주식 이동평균선과 macd 지표 주가 이동평균선은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을 연결하여 만든 선입니다. 예를 들어 5일 이동평균선은 당일 포함 5일 동안의 종가 평균을 산출하여 이를 선으로 연결합니다. 많이 사용하는 이동평균선은 5일 이동평균선과 20일, 60일, 120일, 200일입니다. 주가가 계속 상승하는 경우, 5일 이동평균선부터 200일 이동평균선까지, 즉 단기이동평균선부터 장기이동평균선까지 순서대로 나열됩니다. 이를 정배열이라고 합니다. 주가가 계속 하락하는 경우, 이와 반대로 위에서부터 장기이동평균선부터 단기이동평균선까지 나열됩니다. 이를 역배열이라고 합니다. [정배열 구간] 여러 책에서는 정배열 구간에서 사고, 역배열 구간에서 팔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실제 정배열 구간에서 매수하면 정배열이 무너지고, 역배열 구간에서 팔.. 2023. 1. 25. [주식, 비트코인] rsi 지표와 macd macd는 단기(지수)이동평균선과 장기이동평균선이 수렴과 확산을 반복한다는 점에 착안된 보조지표. macd 지표는 고점과 저점을 추측하는데 유용할 수 있음. 위 비트코인 선물차트(바이낸스)를 보면, macd오실레이터가 양에서 음으로 전환시 단기 고점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음. 위 차트에서도 단기 고점, 저점을 예상할 수 있음 macd를 이용한 일반적인 매매방법은 - 오실레이터가 양으로 증가할 때 매수 - macd 선이 0선을 돌파할 때 매수 (macd선이 0선을 돌파한다는 의미는 12지수이동평균선과 26지수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를 의미) - 기타 rsi지표가 과매도권, 과매수권일 때 macd 오실레이터 막대의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에 매매를 하는 경우도 있음 rsi 지표는 주식, 선물, 옵션 등의 기술적.. 2023. 1. 23.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85 다음 728x90 반응형